BE15 [Hadoop] localhost: ERROR: Cannot set priority of namenode process 해결 서론 업무에 hadoop을 활용해야하는 것 이 있어 로컬에 설치 후 업무를 진행을 잘했는데, 다음날에 hadoop을 다시 켜보니 namenode 부분에서 ERROR: Cannot set priority of namenode process 라고 나오며 namenode가 켜지지 않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시도했던 방법 1. hadoop을 설치하면 /hadoop-3.4.1/sbin 경로 아래에 stop-all.sh와 start-all.sh 파일이 있는데, (나 같은 경우는 hadoop의 버전이 3.4.1이라서 이부분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음) 각각 하둡의 모든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시작하는 파일이다. 혹시 몰라서 터미널에 stop-all.sh을 입력.. 2024. 12. 12. [SpringBoot] 동시성 처리하기 1 [재고 시스템으로 보는 동시성 처리] 인프런 - '재고 시스템으로 보는 동시성 처리' 강의 시청 후 복습하는 포스팅입니다.SpringBoot 3.2.1 / JPA / lombok / Mysql ‼️ 이 포스팅을 읽으면 어떤 것을 알 수 있나요?동시성 처리 '1' 인 만큼 동시성 처리에 문제가 되는 코드를 보여주고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다루려고 한다. 코드소개 Stock 객체를 조회하고, 재고를 감소시킨 뒤 남은 수량으로 값을 갱신하는 간단한 코드 * stock 엔티티import jakarta.persistence.*;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import lombok.Getter;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Entity@NoArgsCon.. 2024. 12. 4. [SpringBoot] 파일 시스템에서 특정 디렉토리 및 파일 모니터링 서론신규파일과 기존파일을 구분하여 스케줄러가 신규파일인지 확인 한 후 파일 타입을 찾는 업무가 있었다. 근데, 신규 파일인지 확인을 하려면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했다.뿐만 아니라 특정 디렉토리에서 반복문을 사용하여 기존 파일인지, 신규파일인지 확인하는 로직도 필요했다.파일의 개수가 적을 때는 상관없겠지만 만약 천개, 만개라면....? 반복문을 천번, 만번을 돌면서 확인을 해야하는데 구현 전부터 성능문제가 생길 것 같았다.. 그래서 찾아보기 시작하다가 Java 7에서부터 도입된 WatchService를 발견했다!!! WatchService란?!- Java 7부터 도입되었으며 Java NIO 패키지의 일부-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의 변경 사항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파일 시스템의 이벤트를 .. 2024. 9. 3. [JAVA] ConcurrentHashMap은 뭘까? (synchronizedMap, HashMap과의 비교) 서론여러 강의나 예제를 보면 동시성을 생각하면 concurrentHashMap을 사용하라고 한다. 왜일까? 그리고 도대체 뭘까? ConcurrentHashMap 이란?!- Java의 java.util.concurrent 패키지에 포함된 동시성 map-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읽고 쓸 수 있도록 설계된 자료구조- 기본적으로 동시성 제어를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성능 저하 없이 스레드 안전성을 제공 ConcurrentHashMap의 특징과 동작 방식1. 세분화된 잠금 - ConcurrentHashMap은 내부적으로 세그먼트(segment)나 버킷(bucket) 수준에서 잠금을 관리. 이는 전체 맵이 아닌 일부에만 잠금을 걸어 여러 스레드가 병렬로 작업할 수 있게 함 - Java.. 2024. 6. 3. 이전 1 2 3 4 다음